범칙금 2

우회전시 횡단보도 지나가? 말어?

운전자의 90%가 이것에 대해 모르거나 또는 이미 위반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그럼 어떤 경우가 교톰법규 위반에 해당 할까요? 1. 첫번째 상황입니다. 먼저 우회전을 하기위해서 준비중인데 우회전 하기전에 신호등을 만났습니다. 보행자 신호가 녹색불로 바뀌었습니다. 이때는 건너도 될까요? 건너면 안될까요? 절대로 건너면 안됩니다. 정지선에서 보행자 신호가 빨간불일 때까지 무조건 기다려야 합니다. 어기면 도로교통법 제5조 범칙행위에 해당되어 신호위반으로 처벌을 받는다고 합니다. 승합자동차는 7만원 승용차는 6만원 이륜자동차는 4만원의 벌금과 함께 벌점 15점이 부과 됩니다. 2. 두번째 상황입니다. 처음 만나는 횡단보도를 지나서 우회전을 하자마자 또 횡단보도를 만나게 되는 경우 입니다. 이때 보행자 신호..

일상생활 2021.01.27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

자동차 과태료가 아닌 범칙금으로 납부하면 보험료가 인상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속도 위반 등으로 과태료 통지서 날라 왔을때 어떻게 납부 하느냐에 따라서 자동차 보험료가 인상이 될 수도 있고 인상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운전하시는 분들에게는 필수적으로 아셔야 할 중요한 꿀팁 입니다. 보통 과태료가 날라오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반 운전자가 확인되면 벌점 20점에 범칙금 3만원을 내게 되면 매년 갱신되는 자동차보험이 법규 위반요율 최대 30%까지 2년간 할증적용되어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하지만 사전납부 과태료 3만2천원 혹은 4만원을 납부하게 되면 보험사에서는 차주 본인이 위반한 것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에 보험료는 할증 되지 않습니다. 자동차 보험료는 한번 할증되고 나면 할인을 못 받는 것까지 감안하면 금..

일상생활 2021.01.25